맨위로가기

프레데리크 4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데리크 4세는 1671년에 태어나 1730년에 사망한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국왕이었다. 그는 크리스티안 5세의 아들이자 메클렌부르크-구스트로의 루이세와 결혼하여 크리스티안 6세를 포함한 여러 자녀를 두었다. 그의 통치 기간 대부분은 대북방 전쟁과 겹쳤으며, 덴마크는 이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스웨덴 남부 영토를 회복하는 데는 실패했다. 그는 이탈리아를 방문하여 건축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프레데릭스베르 궁전과 프레덴스보르 궁전을 건설했다. 프레데리크 4세는 말년에 건강이 악화되어 경건주의에 심취했으며, 1730년 오덴세에서 사망하여 로스킬레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71년 출생 - 고륜순희공주
    고륜순희공주는 순치제의 서손녀이자 화석공친왕의 서녀로 강희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몽골 귀족 반디의 두 번째 부인이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70세에 사망하였다.
  • 1671년 출생 - 토마소 알비노니
    토마소 알비노니는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 활동한 이탈리아의 작곡가로, 오페라와 기악곡을 작곡했으며, 오늘날에는 오보에 협주곡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1730년 사망 - 제2대 빌레루아 공작 프랑수아 드 뇌빌
    루이 14세의 측근이자 프랑스 원수였던 제2대 빌레루아 공작 프랑수아 드 뇌빌은 궁정에서는 성공했으나 군사적 능력 논란과 패배로 사령관직에서 해임되었고, 정치적 갈등 후 복귀하여 생을 마감했으며, 군사적 평과 외교적 능력에 대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1730년 사망 - 조아킴 부베
    조아킴 부베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 청나라에서 활동하며 강희제의 총애를 받은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수학과 천문학을 가르치고 외교 사절 역할을 수행하며 동서양 문화 교류에 기여했고, 라이프니츠에게 이진법 연구에 영향을 주었으며, 중국례 논쟁에 참여하고 『강희제전』을 저술했다.
  • 올덴부르크가 - 덴마크의 루이세 샤를로테
    덴마크의 루이세 샤를로테는 프레데리크 왕자와 조피 프리데리케 사이에서 태어나 헤센카셀 방백 빌헬름과 결혼하여 1남 5녀를 두었고, 예술과 시에 관심을 보이며 왕위 계승 문제에 관여하다가 사위에게 유리하게 왕위 계승권을 포기한 후 크리스티안스보르 궁전에서 사망했다.
  • 올덴부르크가 - 크리스티안 4세
    크리스티안 4세는 1588년부터 1648년까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국방 및 경제 개혁을 추진하고 해외 진출을 시도했으나 30년 전쟁과 토르스텐손 전쟁에서 패배하여 발트 해에서의 세력을 상실했으며, 르네상스 군주로서 예술과 문화를 장려하다가 1648년 사망했다.
프레데리크 4세
기본 정보
발타자르 데너 - 덴마크-노르웨이의 프레데리크 4세 국왕 초상화 - NG.M.00176 - 국립 미술, 건축 및 디자인 박물관
발타자르 데너의 초상화
칭호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국왕
통치 기간1699년 8월 25일 – 1730년 10월 12일
대관식1700년 4월 15일 프레데릭스보르 성 예배당
선임자크리스티안 5세
후임자크리스티안 6세
출생일1671년 10월 11일
출생 장소덴마크 코펜하겐 코펜하겐 성
사망일1730년 10월 12일
사망 장소덴마크 오덴세 오덴세 궁전
매장지로스킬레 대성당
서명
종교루터교
통치
대법관콘라트 폰 레벤틀로우, 크리스티안 크리스토퍼센 세헤스테드, 울리크 아돌프 홀스테인
가족
배우자루이제 폰 메클렌부르크-귀스트로 (1695년 결혼, 1721년 사망)
엘리자베트 헬레네 폰 비레그 (1703년 결혼, 1704년 사망)
안나 소피에 레벤틀로우 (1721년 결혼)
자녀크리스티안 6세
샤를로테 아말리에 공주
왕가올덴부르크 가문
아버지크리스티안 5세
어머니샤를로테 아말리에 폰 헤센-카셀

2. 생애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코펜하겐 성에서 크리스티안 5세 국왕과 그의 아내인 헤센-카셀의 샤를로테 아말리에의 아들로 태어났다. 1699년 8월 25일 아버지 크리스티안 5세가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어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프레데리크 4세의 치세는 1700년부터 1721년까지 이어진 대북방 전쟁 시기와 상당 부분 겹친다. 그는 직접 덴마크군을 지휘하며 전쟁에 참여했으나[18], 1712년 가데부슈 전투에서는 스웨덴군에게 패배하기도 했다. 전쟁 결과 덴마크는 승전국이 되었지만 스웨덴 남부 영토를 되찾지는 못했다. 대신 홀슈타인고토르프 공국을 소멸시키고 슐레스비히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9].

국내 정책으로는 1702년 셸란 섬의 농민들에게 적용되던 농노제의 일종인 Vornedskab|보르네스카브da를 폐지한 것이 중요한 업적으로 꼽힌다[6]. 또한 대북방 전쟁 이후에는 무역과 문화를 장려하여 1722년 코펜하겐에 덴마크 최초의 극장인 릴레 그뢰네가데 극장이 문을 열었고, 극작가 루드비 홀베르가 활동을 시작했다[7]. 루터교 선교사 한스 에게데그린란드 개척도 그의 지원 아래 시작되었다[7].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코펜하겐1711년 페스트 유행과 1728년 대화재라는 두 차례의 큰 재난을 겪기도 했다[9].

개인적으로는 1695년 메클렌부르크-구스트로의 루이세와 결혼했으나, 이후 엘리자베트 헬레네 폰 비어레그(1703년), 안나 소피 레벤토우(1712년)와 두 차례 중혼을 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말년에는 건강 악화와 여러 시련 속에서 경건주의에 심취했으며[17][20], 1730년 10월 12일 오덴세의 오덴세 성에서 사망했다[17][20]. 그의 시신은 로스킬레 대성당에 안치되었고[17][20], 왕위는 아들 크리스티안 6세가 계승했다. 프레데리크 4세는 책임감 있고 근면하며 문화 예술 후원에 힘쓴 군주로 평가받지만, 중혼과 측근 등용 문제로 비판받기도 한다[15][16].

2. 1. 초기 생애

프레데리크는 1671년 10월 11일 코펜하겐 성에서 국왕 크리스티안 5세와 그의 배우자 헤센-카셀의 샤를로테 아말리에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3세는 그가 태어나기 1년 반 전에 사망했고, 그는 국왕의 장남으로서 태어날 때부터 크라운 프린스였다. 새로 태어난 왕자는 그날 저녁 왕실 고해 신부 한스 레스에 의해 프레데리크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2] 이후 덴마크 왕실에서 왕족 아이들의 세례에 사용된 왕실 세례반은 그의 세례 때 처음 사용되었다.[3]

프레데리크 4세(가운데)와 아버지 크리스티안 5세, 형제 크리스티안, 카를


18세에 그는 왕위 추정 상속인으로서 국가 평의회에 자리를 얻었다.

크라운 프린스 프레데리크는 실내관 디틀레프 비베의 인솔 하에 유럽을 여행하며 교육의 폭을 넓혔다. 그는 특히 이탈리아의 건축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덴마크로 돌아온 후 아버지에게 당시 발비 언덕으로 알려졌던 솔비에르에 여름 궁전을 지을 수 있도록 허락을 받았다. 그곳은 미래의 프레데릭스베르 궁전이 세워질 곳이었다.[4] 아마도 에른스트 브란덴부르거가 설계한 것으로 보이는 1층 건물은 1703년에 완공되었다.

프레데리크는 북독일의 여러 개신교 왕족의 딸들 중에서 미래의 아내를 선택할 수 있었다. 1695년, 그는 구스트로의 메클렌부르크-구스트로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의 궁정을 방문했다. 그러나 그의 방문은 형제 크리스티안 왕자의 심각한 질병에 대한 소식으로 중단되었다(그는 실제로 이미 울름에서 사망했다). 프레데리크는 나중에 구스트로로 돌아가 미혼 공주들 중 맏이를 선택해야 했다. 1695년 12월 5일, 그는 코펜하겐 성에서 메클렌부르크-구스트로의 루이세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2세의 증손녀였다.

1699년 8월 25일 아버지 크리스티안 5세가 사망하자, 프레데리크는 덴마크-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들은 1700년 4월 15일 프레데릭스보르 궁전의 예배당에서 대관식을 거행했다.[5]

2. 2. 대북방 전쟁

프레데리크 4세(Frederik 4) 치세의 대부분은 1700년부터 1721년까지 이어진 대북방 전쟁 시기와 겹친다. 그는 즉위한 1699년에 아우구스트 2세, 러시아의 표트르 1세와 함께 반 스웨덴 동맹을 결성하고, 스웨덴과 동맹 관계에 있던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국을 공격하며 전쟁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1700년 초, 잉글랜드네덜란드가 스웨덴을 지원하고 서방 해군이 코펜하겐을 급습하자, 덴마크는 트라벤탈 조약을 맺고 전쟁에서 빠르게 이탈해야 했다. 이후 덴마크는 한동안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1709년, 폴타바 전투에서 스웨덴군이 러시아군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자, 덴마크는 러시아의 요청에 따라 다시 전쟁에 참여했다. 프레데리크 4세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1710년, 카를 12세가 부재한 스웨덴 본토의 옛 영토였던 스코네를 침공했다. 하지만 헬싱보리 전투에서 마그누스 스텐보크 장군이 이끄는 스웨덴군에게 크게 패배하였고, 이로써 덴마크의 스코네 탈환 시도는 좌절되었다. 이는 덴마크의 마지막 스코네 침공이었다.

스코네 침공 실패 후, 프레데리크 4세는 스웨덴의 독일 영토로 공격 방향을 전환했다. 1712년 가르데부슈 전투에서는 직접 덴마크군을 지휘했으나, 스텐보크에게 다시 한번 패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713년 테닝 포위전에서는 스텐보크를 항복시키는 데 성공했다. 1716년에는 외레순 해협이 얼어붙으면서 스웨덴의 빙상 침공 위협에 직면했고, 노르웨이가 침공당하기도 했지만, 스웨덴 국왕 카를 12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위기를 넘겼다.

전쟁 결과, 덴마크는 승전국 측에 섰지만 스톡홀름 조약을 통해 남부 스웨덴의 옛 영토를 회복하는 데는 실패했다. 하지만 전쟁을 통해 슐레스비히 공국 내 고토르프 공령을 소멸시키고 슐레스비히 지역에 대한 덴마크의 종주권을 확립하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덴마크가 카를 프리드리히 공작을 1713년 슐레스비히에서 몰아낸 결과였다. 다만, 홀슈타인-고토르프 가문을 통해 러시아 제국의 영향력도 받게 되었다. 또한 1714년에는 헬고랜드 섬을 획득했으며, 종전 후 프레데릭스보르 조약에 따라 스웨덴이 외레순 해협 통행세를 다시 부담하게 되면서 덴마크의 국력 유지에 기여했다. 결과적으로 스웨덴과 홀슈타인-고토르프 가문의 동맹이 깨지면서 덴마크는 오랜 숙적인 스웨덴의 직접적인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2. 3. 국내 통치 및 개혁

1702년 프레데리크 4세는 셸란 섬 농민들에게 중세 후기부터 적용되던 농노제의 일종인 보른네스카브(Vornedskab)를 폐지했다. 이는 그의 가장 중요한 국내 개혁으로 평가받는다.[6] 그러나 이 개혁의 효과는 1733년 부역제(스타븐스반트, Stavnsbånd)가 도입되면서 상당 부분 상쇄되었는데, 이 제도는 농민들을 자신들의 출신 지역에 묶어두어 지역 귀족과 군대의 통제를 받게 만들었다.[6]

또한 1700년에는 천문학자 올레 뢰머의 건의를 받아들여 덴마크-노르웨이에 그레고리력을 도입했다.[9] 국내적으로는 경건주의를 장려하고 왕립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 보급에도 힘썼다.

대북방 전쟁 이후에는 무역과 문화가 번성했다.[7] 1722년 코펜하겐에는 덴마크 최초의 극장인 릴레 그뢰네가데 극장이 문을 열었으며, 극작가 루드비 홀베르가 활동을 시작했다.[7] 프레데리크 4세는 예술과 건축의 후원자로서, 이탈리아 바로크 양식의 영향을 받아 프레데릭스베르 궁전과 프레덴스보르 궁전 건설을 지원했다. 이 궁전들은 대북방 전쟁 종결을 기념하는 의미도 지닌다.[10] 또한 선교대학을 설립하여 루터교 선교사한스 에게데그린란드 식민지화 활동을 지원했다.[7]

정치적으로 이 시기는 왕이 두 번째 왕비 안나 소피 레벤토우의 친족인 홀슈타인 출신 레벤트로 가문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기존 귀족들에 대한 불신이 커진 것이 특징이다.[7][8] 안나 소피의 친척 등용은 귀족들의 반발을 샀으며, 아들 크리스티안 6세와의 관계 악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프레데리크 4세의 통치 기간 동안 코펜하겐은 두 차례 큰 재난을 겪었다. 1711년에는 페스트(흑사병)가 유행했으며,[9] 1728년 10월에는 대화재가 발생하여 중세 시기 건설된 도시의 상당 부분이 소실되었다.[9] 이 화재로 올레 뢰머의 귀중한 천문 관측 자료들도 함께 소실되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다.[9]

프레데리크 4세는 책임감 있고 근면한 군주로 평가받으며, 장관들로부터 독립적인 통치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는 학문적 지식에는 큰 관심이 없었으나 예술과 건축 분야 후원에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귀천상혼을 통해 왕비가 된 안나 소피와 그 친족에게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며, 이는 정치적 갈등의 요인이 되었다.[15][16]

2. 4. 베네치아 방문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4세는 1708년에서 1709년으로 넘어가는 겨울, 베네치아를 방문하여 도시의 사회사에 중요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공식적으로는 "올덴부르크 백작"이라는 가명을 사용하며 최소 80명의 수행원과 함께 베네치아에 머물렀다. 이는 신분을 숨기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왕족 방문 시 요구되는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공식 의례를 피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프레데리크 4세는 9주 동안 머물면서 베네치아 시민들에게 친숙한 인물이 되었다. 그는 오페라와 코미디 공연을 자주 관람하며 도시의 활기찬 문화를 즐겼다. 또한 당시 귀한 물품이었던 베네치아 유리를 많이 구입하기도 했다. 베네치아 국립 병기창을 방문했을 때는 베네치아 공화국으로부터 명예로운 선물로 대형 청동 대포 두 문과 청동 박격포 한 문을 받았다.

그의 방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행사는 그를 기리기 위해 대운하에서 열린 성대한 레가타였다. 이 장면은 화가 루카 카를레바리즈의 그림으로 남아 전해진다. 그림 속 프레데리크 4세는 8명의 노 젓는 사공이 모는 곤돌라에 기사와 함께 앉아 행사를 즐기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1708-09년 겨울은 유난히 추워 베네치아 석호가 얼어붙을 정도였다. 베네치아 사람들은 얼어붙은 석호를 걸어 본토까지 갈 수 있었는데, 이 때문에 덴마크 국왕이 추위를 몰고 왔다는 농담이 돌기도 했다.

프레데리크 4세의 이탈리아 방문은 베네치아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그는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을 방문하여 당시 대공의 미망인이었던 비올란테 베아트리체를 만나기도 했다.

베네치아를 떠나 귀국하는 길에는 작센 선제후이자 폴란드 국왕인 강력왕 아우구스투스, 그리고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와 만나 스웨덴과의 전쟁 준비에 관한 정치적 협상을 진행했다. 이처럼 그의 베네치아 방문은 문화적 경험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2. 5. 결혼과 자녀

프레데리크 4세는 1695년 12월 5일 코펜하겐 성에서 메클렌부르크-구스트로의 루이세와 결혼했다. 루이제는 메클렌부르크-구스트로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의 딸이었다. 왕세자 시절 구스트로를 방문하여 만났으며, 1700년 4월 15일 프레데릭스보르 궁전 예배당에서 함께 대관식을 올렸다.[5]

그러나 프레데리크 4세는 루이제 왕비가 살아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차례 중혼을 했다. 1703년에는 엘리자베트 헬레네 폰 비어레그(Elisabeth Helene von Vieregg)와 결혼했으나, 그녀는 1704년 출산 중 사망했다. 이후 1711년, 당시 19세였던 안나 소피 레벤토우 백작 부인과 사랑에 빠졌다. 안나 소피는 대재상 콘라드 폰 레벤토우의 딸로, 왕은 코펜하겐페스트가 유행할 당시 왕가가 머물던 콜링후스의 가면무도회에서 그녀를 만났다. 그는 1712년 6월 26일 스칸데르보르에서 안나 소피와 비밀리에 결혼식을 올리고 '슐레스비히 공작부인' 칭호를 주었다.

1721년 4월 4일, 루이제 왕비가 사망한 지 3주 후, 프레데리크 4세는 안나 소피를 정식 왕비로 선포했다. 이로써 안나 소피는 왕족 출신이 아닌 첫 번째 덴마크 왕비가 되었다. 당시 프레데리크 4세와 안나 소피는 자신들의 관계를 죄악으로 여겼기에, 이 결혼으로 안도감을 느꼈다고 전해진다.[13] 안나 소피의 왕비 책봉은 레벤토우 가문의 세력 확대로 이어졌으며, 이는 다른 귀족 가문 및 프레데리크 4세의 남매들과의 갈등 요인이 되기도 했다.[15][16]

프레데리크 4세는 세 명의 부인에게서 총 9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이 중 성인이 된 자녀는 첫 번째 부인 루이제에게서 태어난 크리스티안 6세와 샤를로테 아말리에 공주 두 명뿐이었다.[14]

프레데리크 4세의 자녀
배우자자녀 이름생몰년
메클렌부르크-구스트로의 루이세크리스티안 왕자1697년 6월 28일 – 1698년 10월 1일
크리스티안 6세1699년 12월 10일 – 1746년 8월 6일
프레데리크 카를 왕자1701년 10월 23일 – 1702년 1월 7일
게오르 왕자1703년 1월 6일 – 1704년 3월 12일
샤를로테 아말리에 공주1706년 10월 6일 – 1782년 10월 28일
엘리자베트 헬레네 폰 비어레그프레데리크 귈덴뢰베1704년 – 1705년
안나 소피 레벤토우크리스티아나 아말리아 공주1723년 10월 23일 – 1724년 1월 7일
프레데리크 크리스티안 왕자1726년 6월 1일 – 1727년 5월 15일
카를 왕자1728년 2월 16일 – 1729년 12월 10일


2. 6. 말년과 죽음

국왕의 말년에는 수종(부종)을 앓았고, 코펜하겐의 대포 주조 공장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의 후유증에도 시달렸다.[17] 또한 사적인 슬픔과 1728년 코펜하겐 대화재[20] 등으로 인해 그의 아들 크리스티안 6세가 통치하는 동안 널리 퍼지게 될 신앙 형태인 경건주의에 기울었다.[17][20] 말년에 프레데리크 4세는 안나 소피 여왕을 보호하기 위해 아들의 충성을 요구했으나,[17] 안나 소피의 친척 등용 문제로 인해 아들과의 사이는 좋지 않았다.

쇠약해지는 와중에도 1730년에는 열병식 여행을 떠나 고토르프에 도착했지만 돌아와야 했고, 59번째 생일 다음 날인 1730년 10월 12일 오덴세에 위치한 오덴세 성에서 사망했다.[17][20] 그의 시신은 덴마크 왕족의 묘소인 로스킬레 대성당에 안치되었으며,[17][20] 왕위는 아들인 크리스티안 6세가 승계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Frederik IV, 1671-1730, Konge https://runeberg.org[...] 2019-12-01
[2] 웹사이트 Kongelig fødsel og dåb - om kirkebøgerne - fra Dansk Historisk Fællesråd http://www.historie-[...] historie-online.dk 2014-09-25
[3] 서적 Kongelig Dåb. Fjorten generationer ved Rosenborg-døbefonten Forlaget Hovedland
[4] 웹사이트 Frederiksberg Slots historie http://www.frederiks[...] 2010-01-09
[5] 서적 Enevældens kroninger. Syv salvinger - ceremoniellet, teksterne og musikken Forlaget Falcon
[6] 웹사이트 Stavnsbånd 1733-1800 https://danmarkshist[...] 2019-12-01
[7] 웹사이트 Hans Poulsen Egede https://runeberg.org[...] 2019-12-01
[8] 웹사이트 Ludvig Holberg http://denstoredansk[...] 2019-12-01
[9] 웹사이트 Rømer, Ole Christensen, 1644-1710 https://runeberg.org[...] 2019-12-01
[10] 웹사이트 Frederiksberg Slot http://www.denstored[...] en Store Danske, Gyldendal 2010-01-09
[11] 웹사이트 "Den nødvendige politik" https://danmarkshist[...]
[12] 서적 L'Allemagne Dynastique Tome VII Oldenbourg
[13] 서적 L'Allemagne Dynastique Tome VII Oldenbourg
[14] 웹사이트 Frederik IV, Konge i Danmark og Norge (1699—1730) https://runeberg.org[...] 2019-12-01
[15] 서적 L'Allemagne Dynastique Tome VII Oldenbourg
[16] 웹사이트 Historien om Vemmetofte Kloster og klostrets tradition http://vemmetofte.dk[...] 2019-12-01
[17] 웹사이트 Frederik 4. Konge af Danmark-Norge. 1699-1730 http://www.danskekon[...] 2019-12-01
[18] 문서 阿部、P52 - P56、P105 - P106。
[19] 문서 阿部、P135 - P139、P156 - P157、百瀬、P156 - P158、橋本、P98 - P102。
[20] 문서 百瀬、P161 - P162、橋本、P105 - P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